[2014년 방송기자 신년호 특집 모바일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기고글임]



[BBC 모바일 앱 구동 장면 캡쳐]



  어릴 적 아침 저녁 시간, 거실에서 식사하면서 가족이 즐겨 보던 TV 프로그램은 뉴스였다. 신문은 아침, 저녁 배달되고 나면 끝이라 그 밖에 세상 돌아가는 소식은 TV 뉴스에 눈과 귀를 집중할 수밖에 없었고 그날의 뉴스는 가족들의 공통 이슈가 되어 온종일 이야기를 나눴던 기억이 난다.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 방송뉴스는 TV뿐 아니라 웹을 통해 PC에서도, 스마트폰이라는 개인화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언제든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뉴스를 찾아볼 수 있게 됐다. 이러한 변화가 방송사 입장에서는 기회가 될까, 위기가 될까? 소셜 미디어와 스마트폰이 생활의 일부가 되면서 정보의 유통과 소비 패턴도 바뀌고 있는데 그런 관점에서 국내 주요 방송사에서 제공하는 웹과 모바일 뉴스 서비스는 어떤지 사용해 봤다.


뉴스 웹 사이트, 정보 확산·SNS 연계 미흡


대부분의 방송사의 뉴스 웹사이트는 유사한 포맷을 가지고 있었다. 최상단에 주요 카테고리를 볼 수 있는 내비게이션이 있고, 상단 중앙에는 헤드라인 뉴스를 이미지나 영상으로 배치하고 아래쪽에는 분야별 뉴스를 배치한다. 그런데 너무 헤드라인 뉴스만 부각시켜 처음 사이트에 방문한 소비자들이 원치 않는 뉴스일 경우 거부감을 가지고 바로 이탈할 수도 있다고 본다.


YTN의 경우 조금은 예스러운, 신문사 메인 페이지 같은 디자인을 고수하고 있는데 이미지 썸네일과 텍스트를 결합한 형태라 친숙하긴 하지만 집중도는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JTBC는 이미지와 영상, 텍스트 영역이 가독성 높게 구분돼 보기에 수월하다는 느낌이다. 해당 사이트에 방문한 소비자들이 보기 편하고 관심을 갖도록 사이트 기획과 컬러 디자인을 해야 하는 것은 필수 고려 사항이다.


그런데 국내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N포털에서 대부분의 뉴스가 소비되고, 소비자가 공감하는 기사는 소셜 미디어 계정으로 공유되는 만큼 방송사 웹사이트의 직접 트래픽이나 확산도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 소비자에게 어떤 가치를 부여해 방송사 웹사이트로 들어오게 할 것인가? 자사 뉴스 콘텐츠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블로그 등의 뉴미디어와의 연계가 자연스럽게 이뤄져야 한다. 몇몇 방송사의 웹사이트에서 필자의 페이스북으로 북한 장성택 처형에 관련된 속보 기사를 공유해 봤다.

캡처 화면에서 보듯 KBS의 경우 이미지 썸네일이 해당 기사와 관련 없는 KBS 회사 로고가 나온다. 이렇게 공유된 정보는 확산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BBC는 페이스북 뉴스피드 사이즈에 딱 맞는 썸네일에 출처까지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작은 부분이지만 지금의 소비자들은 정보 소비의 수준이 높아져서 방송사들은 이런 세밀한 부분까지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된다.


뉴스 사이트를 돌아본바 정보의 확산과 소셜 미디어와의 연계 부분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굳이 왜 공들여 사이트를 개발하고 운영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 주목받는 인터넷 미디어 가운데 슬로우 뉴스(http://slownews.kr), 뉴스 페퍼민트(http://newspeppermint.com), ㅍㅍㅅㅅ(http://ppss.kr)의 경우 순수하게 콘텐츠의 힘과 소셜 미디어와의 연계성만으로 기존 방송, 신문과는 또 다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영향력은 물론 기존 미디어와 비교할 바는 아니지만 뉴스의 소비 측면에서 본다면 위에 언급한 세 곳의 형태가 요즘 소비자들이 공감하고 공유하는 뉴스에 더 맞을 것 같다. 결국 사이트의 기능적 구성이 우선은 아니라는 점이다. 이러한 부분은 모바일로 넘어가면 더욱 심해진다.

모바일 앱, ‘사이즈’만 스마트폰에 맞춘 수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지난 12월 10일 발표한 ‘스마트폰 보유 및 이용행태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작년 대비 43% 증가한 66분이라고 한다. 반면 PC 이용 시간은 61분에서 55분으로 줄어 역전됐다. 여전히 TV 시청 시간이 185분으로 가장 비중이 크지만 TV를 보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도 14분으로 PC 대비 2배였다.


이는 이미 뉴스 또는 정보의 소비 패턴이 모바일로 이전됐다는 것이고, 책상에 앉아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점점 줄고 있음을 나타낸다. 경제활동을 하는 성인의 경우 대부분 업무시간에 책상에 앉아 뉴스를 끊임없이 소비하지 않는다. 낮 시간에 일어나는 뉴스는 주로 저녁 TV를 통해서나 아니면 이동 중 또는 특정 장소(카페 등)에서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기 때문이다. 과연 포털의 모바일 뉴스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받는 소비자들을 각 방송사의 뉴스 앱으로 어떻게 옮겨오게 할 수 있을 것인가?


거의 모든 방송사의 뉴스 모바일 앱 서비스는 웹사이트를 단지 스마트폰 사이즈에 맞춰 조절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모바일이라는 특성을 살려 소비자가 사진이나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는 현장 기사제보 기능이 있긴 하지만 불편하다. 개인정보 입력이나 동의하는 단계가 만만치 않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계정의 기본 정보로 로그인하게 하고 개인의 소셜 계정에 올라온 사진이나 영상을 그대로 끌어올 수 있게 한다면 쉽게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 같다. BBC 모바일 앱의 경우 기사제보 아이콘이 아예 초기 화면 하단에 있다. 사진이나 영상을 갤러리에서 가지고 와 바로 올릴 수 있고 텍스트는 메일로 연결돼 기존 기능과의 연계도 잘 돼 있다. 그러나 국내 방송사 앱의 기사제보 기능은 소비자 관점에서의 용이성보다는 구색 맞추기 식으로 준비됐다는 느낌이 든다.


아래 사진은 모바일 앱 초기 화면으로 좌측이 YTN, 우측이 BBC의 것이다. 

YTN은 하단 광고 배너를 차치하더라도 방송사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없고 기사의 집중도나 가독성도 높지 않게 구성돼 신경을 많이 안 쓰고 있다는 느낌이다. 또 소비자가 보고 싶은 기사나 카테고리 등을 ‘편집’(Edit)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 BBC 등 해외 뉴스 앱은 우측 상단에 편집(Edit) 기능이 있어 원하는 뉴스만 골라 볼 수 있다.


콘텐츠 배치의 측면에서는, 해외의 경우 정사각형 중심으로 상하좌우 슬라이딩을 통해 뉴스를 쉽게 볼 수 있고 전체적인 디자인은 매거진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물론 해외 서비스가 무조건 좋다는 건 아니지만 모바일과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 소비 패턴은 전 세계적인 흐름이 같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해외 뉴스 서비스를 참고할 가치는 충분히 있다. 하나 덧붙이자면, 웹사이트 구성을 그대로 스마트폰으로 옮기는 것보다는 모바일 사용자의 행동 패턴(걷거나 지하철, 버스에서 사용)을 고려해 콘텐츠 구성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사용 패턴 분석한 서비스 전략 세워야


유튜브의 진화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 방송사들은 유튜브에 채널을 구성해 영상을 공유한다. 1분 30초 뉴스 한 꼭지를 한 개의 모듈이라고 본다면 영상 대부분을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하고 웹사이트나 모바일에서는 콘텐츠와 카테고리를 제시만 해줌으로써, 선택은 소비자가 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큐레이션’ 기능 정보만 제공해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 동영상 시청의 파편화 현상을 감안할 때 모바일 뉴스, 정보 서비스는 개인의 스마트폰과 거실의 TV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 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구글의 크롬캐스트(Chromecast)나 넷플릭스(Netflix)가 대표적인 사례다. 린백(Lean Back) 효과라고 해서 소파에 앉아 TV를 보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하는 패턴이 일반화되는 것을 유심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세계적으로 사용자가 많은 소셜 미디어인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드인LinkedIn 등의 흐름을 보면 처음에는 커뮤니티와 정보 공유를 위한 서비스에서 점차 미디어화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이미 링크드인은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인 펄스Pulse를 인수해 내부 서비스로 안정화를 하고 있고, 13억 사용자의 페이스북 역시 개인 뉴스피드에 나타나는 정보를 선별할 수 있는 기능을 일부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중요한 이유는 이들 소셜 미디어들은 사용자 관점에서의 서비스 기획이 아니라 엄청난 양의 사용 패턴(로그 데이터)을 분석해 소비자 지향적인 서비스를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각 방송사가 향후 웹과 모바일 서비스 전략에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지 못할 경우 현재와 같은 고민을 반복하게 될 것이고, 소비자들은 소셜 미디어와 포털 사이트로부터 빠져나올 생각을 영원히 하지 않을 것이다.


원문 : 방송기자연합회 http://reportplus.kr/?p=8613


PDF :

전문가모니터_최익상대표.pdf



[이미지 출처 : 카카오뮤직 홈페이지]



지난 8월 중순, 카카오와 벅스뮤직(네오위즈인터넷)은 모바일 음악 서비스를 위한 제휴를 한다고 발표를 했다. 카카오톡 사용자와 카카오스토리를 기반으로하는 소셜 음악 유통 플랫폼을 만들려나 하는 생각에 어떤 모델이 나올지 궁금했다.(사실 카카오의 신규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은 떨어져 있어 그닥 궁금해 하지는 않았다. ㅠㅠ)


그리고 9월 25일 '카카오뮤직(http://www.kakao.com/music/) 이란 서비스가 오픈이 되었는데... 반응이 영 시원치 않아 필자는 사용하지 않다가 한 번 테스트 삼아 써보기로 했다.사용 전 대충 훑어 봤는데도 카카오 페이지가 쫄딱(?) 망하는 분위기여서 내부에선 새로은 서비스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을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만큼 눈에 딱 들어오지는 않는 서비스라는 이야기. 간단하게 살펴보면서 문제점과 개선안을 생각해 보자.


1. 구성


* 별도 앱으로 구성

 :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앱 모두 출시가 되었는데 이렇게 별도 앱으로 자꾸 구성되는 것이 좋은 건지는 다시 생각해 봐야할 듯 하다. 불편한 건 둘째치고 기존 카카오톡과 스토리와의 연계 부분도 부드럽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 가격 정책 

: 사용권을 구입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아이폰은 곡당 $0.99, 안드로이드는 600원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유료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구입한 노래는 스트리밍 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멜론 처럼 정액제 스트리밍도 아니고 단위 곡당 유료 스트리밍이라... ㅠㅠ 돈 아깝다라는 생각이 팍 든다.



* 뮤직룸, 친구와 듣기, 카카오스토리에서의 공유 

:  카카오뮤직 앱에서 나의 공간(뮤직룸)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화면 구성이 되어 있다. 필자가 구입해서 듣고 있는 노래 중 최근의 노래가 보여진다(전체 곡이 리스트형태로 보여지는 기능이 없다. ㅠㅠ) 친구들의 노래 역시 전체 리스트는 보이지 않는다. 세심함이 아쉽다. 개인적으로 필자의 카카오톡 친구가 2000명 정도인데 현재 160명이 뮤직앱을 사용 중이니 8% 정도가 사용 중이다. 물론 절대적인 사용자로 환산하긴 어렵지만 비교할 것이 예전 카카오게임과 굳이 비교를 한다면 그 확산 속도는 현저하게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구입한 노래를 카카오톡 친구와 같이 듣기를 위해 메시지를 보내면 늘 그랬듯 이 카카오링크 개념으로 전달된다(아래 이미지 참조) 가장 취약점이라는 것은 바로 카카오뮤직 앱이 없으면 전혀 감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이 부분은 뒤에서 다시 이야기 해보자. 중요한 부분이다.



 또 하나, 카카오 측에서 주력으로 하려던 것이 카카오스토리에서의 음악 감상 공유를 통한 매출의 확대가 아니었나 싶은데 이 부분도 아쉬운 부분이 많다. 아래는 전자신문 정보라 기자의 카카오스토리 메인 화면이다. 가운데 보면 자기 소개 부분이 있는데 글로 설정과 음악으로 설정 둘 중 하나만 선택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음악을 선택했을 때 한 곡만 선택하게 되어 있다. 치명적인 단점은 저곳을 클릭하면 뮤직 앱이 실행되면서 친구의 뮤직룸으로 이동한 다는 것이다. 아....ㅠㅠㅠ 안습이다.




2. 스트리밍 음악 시장과 개선할 부분


자, 간단하게 카카오뮤직 서비스 구성을 살펴보았다. 너무 비판만 한 것 같은데... 최근 스마트폰 사용하는 소비층의 니즈나 정보에 대한 욕구를 본다면 부족해도 한참 부족하다고 느낄 것이다. 구글 플레이 마켙에서의 평점을 봐도 그 시장 반응을 알 수 있다. 과연 카카오가 이 서비스를 테스트베드 차원으로 기획해서 한 것인지 아니면 카카오페이지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한 야심작인지 모르겠다. 벅스라는 기존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서 상생(?) 모델을 만든다는 큰 의미를 가질 수도 있겠지만 서비스가 성공하고 시장 형성이 되어야 마켙 플랫폼으로써의 카카오가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 본다.


스트리밍 시장의 1위인 멜론(로엔엔터테인먼트)의 매각 소식은 기존의 음원 시장이 흔들 거릴 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카카오나 라인 등 모바일 플랫폼 사업자에게 기회가 될 수 있겠다라는 의견들이 많으나 아직은 큰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9월 말 소리바다와 손을 잡고 스트리밍 서비스인 삼성뮤직을 선보였다. 기존의 음악 감상 서비스와 다를바 없이 자사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임베디드 해서 확산을 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어차피 하드웨어 판매가 우선이니 부가서비스로서의 역할 정도라는 생각이라면 나쁘진 않을 듯 하다. 리더스허브나 러닝허브 역시 그렇게 시작했지만 시장 지배력은 현재 없는 실정이다.


전체 시장 규모는 중요치 않은 시장 상황이다 보니 카카오 입장에서만 생각해 보기로 한다면 여러가지 제약 요소가 많았을 거라 본다. 카카오스토리에서 친구들에게 전곡을 듣게 해준다면 저작권에 대한 문제가 있을 수도 있겠고 음악 서비스의 구성을 보니 벅스의 콘텐츠 구성과 로직을 많이 채택한 것 같은 느낌이라 직접적인 서비스 기획에서의 한계를 많이 느꼈을 듯 하다. 하지만 그런 어려움이 사용자들에게는 핑계꺼리로 다가설 수 없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위에서 말한 여러가지 불편한 부분이 그냥 사용을 하지 않게 하는 이유가 되기 때문이다. 돈을 주고 구입한 음원을 다운로드 하지도 못하고 스트리밍만 가능하다... 어떻게 사용자에게 그것이 가치가 있다는 것에 대해서 동기부여를 할 것인가? 이번 뮤직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전 페이지에서부터 계속해서 이어지는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문제인데 여전히 놓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친구들끼리 공유하는 분야 중 가장 빈번한 부분이 영화와 책,음악일 것이라는 아이디어 차원에서 시작을 하지 않았나 싶다. 소셜 뮤직 서비스 중 글로벌 서비스가 여러가지가 있는데 사운드클라우드,스포티파이,그루브샤크 등 필자가 사용 중인 서비스들의 경우 너무나도 기존 소셜미디어와의 연계가 너무도 편하게 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사용을 하면서 내 소셜 친구들과의 공유가 쉽다는 것이다. 일단 현재까지의 카카오의 서비스들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의 소셜미디어와의 연계를 안하고 있다. 카카오의 전략인지 정책인지 고집인지 모르겠지만 국가별,언어별 경계가 사라진 모바일,소셜 환경에서 과연 맞는 전략인지...


신규 서비스,사업에 대한 기획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나 카카오의 경우 사용자도 많치만 모바일 플랫폼 사업자의 리더로써 시장에서 바라보는 시각이나 수준이 굉장히 높아졌다는 것을 잘 알아야 할 것 같다. 단순 퀄리티 문제가 아니라 사용자가 쉽고 자주 이용할 수 있는 고민이 더 필요하다는 이야기이다. 아쉽지만 이번 카카오뮤직 서비스도 아쉬움이 많이 남는 서비스이다. 그래도...화이팅이다. :)





[출처 : http://www.goyang.go.kr/kr/intro/sub03/08/]


필자가 고양시민이 된 것이 98년이니까 올해로 어느덧 만 15년 째 고양시 화정동에 거주하고 있다. 그 동안 시와 구의 여러가지 변화된 모습을 가운데서 직접 보고 느꼈었는데 엊그제 세신사(때미는 분)와 이런 이야기를 주고 받았었다.


...이 동네 오래사셨어요? 사우나 손님이 줄었네요. 집값도 떨어지고... 저 위 X단지는 반토막 났다네요. 그리고 점점 노인들만 많아지고 있어요. 젊은 사람들 다 떠나고...


부동산 하락은 우리 시,구만 해당 되는 것은 아니고 민감한 부분이니 차치하고...


우리 지역이 진짜 그럴까? 라는 생각이 들어 시청 홈페이지(http://www.goyang.go.kr/)에 가서 연령별 주민 현황을 찾아보았다. 2012년말과 올 8월말 기준으로 얼마나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려고 했는데 연령별 증감율 현황이 없어 일일이 엑셀 작업을...ㅠㅠ


아 그리고 고양시 하면 대한민국 소셜커뮤니케이션의 대명사이고 현 최 성 시장은 민선 시장 중 첫 야당(민주당) 출신 시장이며 스스로도 소셜미디어를 자주 이용했던 정치인이다. 그러다 보니 실제 고양시 페이스북현황과 연령별 현황을 비교해 보면서 내년 6월에 있을 선거를 한 번 예측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필자가 가끔 강의나 자문을 할 때 고양시 사례를 많이 들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걸 떠나 고양시에 오래 머물고 있는 시민으로써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은 생각도 들었기 때문이다.


1. 고양시 연령별 인구 현황 증감 



위 표는 고양시 통계 페이지에서 제공한 연령별 인구 현황을 투표권이 있는 20세(만19세) 이상 인구만 추려서 정리해본 표이다. 전체 인구를 보면 8개월 동안 1.1% 정도 증가를 했는데 거의 제자리 수준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20세 이하 인구의 증가 추이를 감안하면 성인의 증가율은 제로에 가깝다.


중요한 부분은 노란색인데 가장 인구가 많고 경제활동이 왕성하여 경제력이 높다고 할 수 있는 35세~49세의 인구는 오히려 줄어들거나 제자리라는 것이다. 세신사의 말이 통계로도 어느 정도 맞다고 볼 수 있겠다. 특히 35~39세는 4%라는 높은 감소율을 보이고 있는데... 정확한 이유를 조사해 보진 않았지만 아마도 부동산(전세,집값 하락 등)과 자녀들 학군에 대한 걱정으로 전출을 한 것이 아닌가 싶다. 또는 직장이 서울이나 지방일 경우 가까운 곳으로 이동하면서 고양시를 떠났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결국,유초등생과 50세 이상 중장년, 노년층은 꾸준히 늘고 있는 양극화 조짐을 고양시 자체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8개월이라는 어찌 보면 짧은 기간에도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이런 변화는 시와 구의 발전에 대한 비전? 가능성을 포기했다고 조금은 극단적으로 유추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이 현재 시장이나 구청장들의 고민이 아닐까 한다. 


이런 인구 현황을 고양시 페이스북 현황과 빗대어서 살펴보기로 하자.


2. 고양시 페이스북은 대박인데...고양시민은??



고양시 페이스북 페이지 좋아요 현황이다(9.23일 오후 5시 현재) 지방자치단체로써는 가장 많은 팬을 거느리고 있다고 알고 있다. 드러나있는 데이터로 몇가지 살펴보면,고양시 페이지는 좋아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곳은 서울시이고 연령대는 18~24세이다. 페이스북은 만으로 카운팅하니까 막 투표권이 있는 청년 팬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양시 캐릭터를 고양이로 잡으면서 페이스북을 통해 전국에 고양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알리게 된 것은 돈으로 살 수 없는 엄청난 효과라는 것은 누구도 부정을 못한다. 하지만... 고양시민 입장에서 보면?? 그리고 내년 6월 지방선거를 눈앞에 둔 최성 시장 입장에서 보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그럼 고양시 페이스북에 있는 진짜 고양시 거주자는 얼마나 될까?



위 이미지는 빅큐브웨이브(http://bigcube.rankwave.com)라는 소셜 분석 베타 버젼 서비스를 이용해서 고양시청 페이스북 팬 중 20세 이상,고양시에 거주하는 팬만 골라 추려본 것이다. 999명, 1천명이라고 치고.... 연령을 보면 20~29세가 91%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 하고 있다. 첫 표에 있는대로면 현재 고양시민 중 12만 3천명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20대에 페이스북 유저가 몰려있다는 것을 반증)


지난 5회 지방선거 이후 소셜미디어가 엄청나게 빠르게 확산되어 주 사용층인 20대에게 고양시 페이스북을 통해서 브랜드 인지도를 올리고 있는 최성 시장에게 유리할 수도 있겠지만 문제는...모바일/소셜 활동이 페이스북 보다는 카카오와 카카오스토리에 집중되어 있는 3~40대와 아예 소셜을 모르는 노년층이 관건이 될 것이다. 실제 고양시민 중 투표 인구가 가장 많은 필자 나이또래 주민들은 고양시 캐릭터가 왜 고양이로 바뀌었는지도 모르고 페이스북을 사용하지 않는 인구가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페이스북 중심의 소셜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시의 가치를 올린 것을 현 시장의 업적으로 시민들에게 어필하기에는 설득을 위한 논리와 근거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지난 5회 지방선거 고양시장 투표 결과이다. 전체 선거인수 대비 투표인원은 절반을 조금 넘는다. 여기에 현재 고양시 주력 팬이라고 볼 수 있는 20대의 투표율(대대로 가장 낮았음)은 타 연령대 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페이스북 주 사용층인 고양시 거주하는 20대들에게 고양시 페이스북 = 최성 시장을 각인화 시켜 지지를 얻게 하는 것도 만만한 부분이 아닐 것이다. 


아마도 이건 고양시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타 지자체나 공공기관의 경우 홍보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열심히 소셜미디어에 투자와 노력을 많이 하고 있지만 정작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는 그래서 이러한 이득이 돌아갑니다 라는 것을 설명하고 업적으로 논리화 하는 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다. 현실적으로 지방선거에서의 핵심은 지역 발전을 위한 공약(결국 주민들에게 어떤 가치를 부여해 줄 수 있는가)과 눈에 보이는 실적 등일 것이기 때문이다. 


정리해 보면 지자체 PR을 위한 소셜커뮤니케이션과 선거 전략차원으로의 미디어 전략은 별도로 생각을 해야할 것이라는 것이다. 고양시 페이스북의 위력이 내년 6월 선거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을 지 아닐 지는 기다려 보면 알겠지만 현재 필자의 예상으로는 거의 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으로 예상 된다. 





[4월 2일 트렌드와칭에 기고했던 글입니다.] 




1. 뉴스스탠드가 뭐야?


어제 4월 1일 자로 네이버의 뉴스서비스가 새로워졌다. 바로 "뉴스스탠드(News Stand)" 라는 녀석이 등장을 했는데...


많은 미디어들이 그 동안 뉴스캐스트를 통해 네이버에 종속하다 시피 하여 트래픽을 올려 광고 수익 등을 올려오다 보니 기존 미디어들은 이번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 개편에 당황해 하고 있다. 뉴스스탠드는 이전의 뉴스캐스트를 운영하면서 나온 많은 부작용(선정성과 호객성 기사 중심)으로 인해서 나온 대안이라고 하는데 물론 그런 부분만이 전부는 아니고 말못할 사정(?)도 있었을 거라 추측해 본다


위 이미지는 필자가 로그인을 한 후에 보여지는 뉴스 메인 부분이다. 뉴스스탠드가 어떤 것인가에 대한 부분은 네이버 뉴스스탠드 블로그를 참고하시길(http://naver_diary.blog.me/150155235690)


쉽게 말해 기존의 각 언론사에서 8개씩 제공해서 롤링으로 돌아가던 네이버 뉴스 메인을 언론사별 전용뷰어를 제공해서 개인 회원들이 원하는 언론사들만 서비스한다는 것으로 일종의 선택형 큐레이션 서비스라고도 할 수 있다. 총 96개 언론사가 서비스를 한다. 예전에는 메이저 언론사나 중소형 인터넷 언론사도 같은 비중으로 랜덤하게 노출되어 제목으로 잘 낚을 수 있다면 상당한 트래픽을 보장 받을 수 있었고 그것은 결국 광고 매출로 이어지는 일종의 생태계, 먹이 사슬과도 같았다.

필자가 원하는 25개의 언론사를 선택하여 마치 나무 색깔의 장바구니에 담듯이 담았는데 굉장히 어색하고 건조하고 재미없는 디자인이며 구성이다. 마치 지금은 서비스 종료된  iGoogle과 같은 느낌이었다. 자 그러면 이런 네이버의 뉴스스탠드가 왜 주목을 받고 각 언론사들이 발을 동동 구르는 이유가 뭘까? 이미 올초 자세하게 분석한 블로그 포스트가 있어 소개를 하고 제가 생각한 향후 예상되는 모습을 정리해 본다.

사용자는 손해, 언론은 울며겨자먹기, 네이버는 이익 - 네이버 뉴스스탠드 1개월 리뷰


2. 뉴스스탠드로 문제 해결이 될까?


그럼 네이버 뉴스스탠드로 하면 문제점들이 사라질까?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 이미 각 언론사는 그나마 자신들의 목록을 많은 네이버 회원들이 선택을 해 주길 바라며 890 픽셀 x 530 픽셀 사이즈 내에 온갖 낚시성 멘트를 날리고 있다. 네이버 메인에서 사라진 것 뿐이지 사실 크게 달라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각 언론사들이 걱정을 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핵심인 컨텐츠와 편집에 대한 근본 개선안을 고민하고 도모한 흔적은 지난 4개월 동안 보여지는 것은 없었다. 그럼 네이버 뉴스캐스트 서비스가 있기 전에는 그럼 어땠는가? 


모든 언론사가 해당되는 건 아니지만 많은 언론사가 자사 기사 페이지에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 배너를 올려 놓거나 이벤트를 걸어 네이버 회원 유치에 힘쓰고 있습니다.(조선일보, 미디어오늘, 오마이뉴스 기사 내 삽입되어 있는 배너들)





아이러니 한거다.  이렇게 예를 들면 어떨까? 삼성전자 디지털프라자에 온 손님에게 하이마트에 가서 삼성전자 제품을 구입하라고 안내를 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물론 트래픽에 대한 부분은 제외하고 느낌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이러한 비정상적인 관계가 얼마나 지속이 될지는 모르겠다. 그리고 이러한 배너나 이벤트를 통해서 과연 얼마나 많은 회원이 구독을 하게 될런지도.


메이저 신문사 몇개를 제외하고는 사실 네이버 방문자들은 어떤 매체에서 제공하는 것인지에 대한 인지도도 낮고 또 기억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뉴스스탠드를 할 경우에는 지명도 높은 언론사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위 표는 연초에 뉴스스탠드 베타 테스트를 했을 때의 통계다. 뉴스스탠드로 바뀌면서는 조선 동아 중앙이 역시 상위를 기록하고 있다. 개편 전에는 매경과 한국일보 헤럴드경제 등이 10위 내에 있었는데 밖으로 밀려났고 매경이나 한국일보는 추측컨데 자극적인 카피로 낚는 확률이 높지 않았나 싶다. (출처 : http://peak15.tistory.com/393)


3. 네이버가 얻고자 하는 것


그럼 네이버는 이런 뉴스 서비스 개편으로 얻을 것이 어떤 것이 있을까? 이미 지난 대선을 정점으로 뉴스 트래픽이 PC 보다 모바일이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후 네이버(NHN)의 비즈니스 모델도 모바일 계열사를 따로 만드는 등 모바일 부분에 상당한 투자와 집중을 하고 있다는 것과 모바일 네이버의 뉴스 부분은 아직도 그대로라는 것! 결국 승부는 모바일에서 보겠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겠다.


그리고 뉴스스탠드 서비스 개시 후 6월 정도에 퇴출 언론사를 선정해서 빼고 새로운 언론사들을 파트너로 넣는 다는 소식이 있었다. 오늘 뉴스를 보니 당분간 언론사 확대 계획이 없다고 하나(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123) 그건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부분이다. 네이버의 정책적인 부분이라 자사에게 유리하도록 언제 바뀔 지도 모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 참조 : 트위터 상의 뉴스스탠드 검색 결과


그리고 그 동안 뉴스캐스트를 서비스하면서 사용자들을 낚을(?) 수 있는 것이 뉴스말고도 다양한 대체재들이 나오고 있으며 소셜미디어가 활성화되면서 컨텐츠의 유통 형태도 점점 짧고 직관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했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또 다른 소셜미디어(미투데이) 서비스를 선보이는 어처구니 없는 전철을 밟진 않을 거라 본다. 웹툰이나 전자책,모바일용 컨텐츠 유통 등 사용자들이 모바일 환경에서 유통되고 소비되고 있는 것에 주력을 할 것으로 보여진다.


아마도 이것은 네이버 자체적인 전략보다는 카카오의 약진이 자극이 되었을 것이라 보는데 예상컨데 카카오 역시 카카오페이지를 통해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카카오를 견제하면서 자연스럽게 모바일 전략이 세워지면서 PC 기반의 뉴스스탠드를 욕먹어가면서 유지할 필요가 없지 않았을까 싶다.


네이버의 검색 또한 자연어 검색이 아니라 블로그,카페 등 자사 플랫폼과 키워드 광고 중심의 결과로 이루어져 사실 광고 수익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극적인 뉴스 정보를 정화한다는 긍정적인 이미지 제고 차원과 비즈니스 모델의 자연스러운 SHIFT가 이루어지는 중이고 이러한 네이버의 정책 변화에 피해를 입는 것은 그 동안 네이버 앞마당(?)에서 잘 놀았던 언론사들이다.


4. 생존이 걸린 중소 언론사


언론사들은 기존 트래픽이 90% 가까이 줄었다고만 하지 말고 뉴스로써의 역할을 제대로 찾아 컨텐츠로 승부하는 서비스 기획에 힘을 쏟았으면 한다. 해외의 사례가 모두 옳은 것은 아니지만 얼마전 모 언론사 관련 팀들과의 미팅을 하면서 이런 저런 사례를 찾아본 결과 허핑턴포스트의 성공과 뉴스위크의 폐간 등 전통적인 종이 매체의 몰락이 정말 남의 일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얼마 전에는 무가지 am7이 발행 중단이 되었다.


사실(FACT) 전달 중심의 기사를 그 동안 핵심으로 해왔다면 분석과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주관적인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제대로 짓고 그 다음 생산된 컨텐츠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은 모바일 중심으로 찾아야 한다고 본다. 플립보드(http://www.flipboard.com/) 와 같은 맞춤형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가 그런 가능성을 보여주는 예가 아닐까 한다.


모바일에서의 네이버와 카카오의 승부가 어떻게 날지 궁금하고 기대가 된다. 그러는 와중에 중소언론사들은 그들의 플랫폼 권력에 흔들흔들거리는 모습이 예상이 되는데 만약에 근본적인 대안이 없다면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꼴이 될 것이다.


ps. 4월 이후 뉴스스탠드와 카카오등에 변화가 있었고 네이버 때리기가 점점 심화되고 있다.

 

50 Golden Blogging Tips For Business

(blog 를 거울에 비추어 보면 gold로 보인다)


필자 개인적으로 2004년 3월부터 개인 블로그를 운영해 왔으니 햇수로 10년차에 접어들었다. 그 이후 회사에서 맡은 역할 때문에 마케팅 차원으로 회사 블로그도 셋팅해 보고 학습관리시스템(LMS) 內에 블로그 프로세스를 도입도 시켜 보았고 나름 다양한 시도를 해왔었다.


2009년 트위터와 페이스북, 즉 소셜미디어 서비스가 아이폰 도입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알려져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블로그에 대한 애정과 관심,트래픽은 뚝 떨어지고 관련 산업까지 형성되고 유망한 스타트업 회사들이 줄줄이 모바일이나 소셜로 업종 전환을 하는 등의 큰 흐름의 변화가 근래 4년 정도 지나고 있다는 것은 업계 있는 분들은 어느 정도 공감하는 바일 것이다.


기업 입장에서 자체 소유할 수 있는 매체로 가장 일반화된 것이 블로그인데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이 친구(?)를 어떻게 활용해야할 지 고민스럽거나 아예 운영을 중지하거나 검토 조차를 포기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 개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와 기업이 운영하는 블로그의 경우 그 내용을 담는 틀(블로그 플랫폼)은 같을 지언정 목적과 콘텐츠,운영계획 등은 달라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최근에 블로그와 관련된 도움이 되는 포스팅들이 많이 있어 우선 소개를 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팔자의 개인 블로그 운영과 1년여 남짓 많은 기업 블로그를 살펴보고 담당자들과의 대화에서 정리해본 기업 블로그 운영시 고려사항이다. 참고 사항으로만 판단하시고 각 기업이나 기관에 맞는 것은 스스로 안을 세워보심이 맞다. 개인 블로그와 기업 블로그는 분명이 차이가 있다.


1. 왜 블로그를 운영하려는 가?


대기업의 경우 그룹 또는 지주회사 단위로 기업의 공용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예산과 관련 조직을 운영할 수 있는 기업의 경우에는 이러한 목적,전략에 대한 고민이 상대적으로 적겠지만 그렇치 않은 많은 기업은 이 부분부터 짚고 넘어가야 한다. 기존의 매스미디어 활용을 하고 있는 PR이나 광고 등과의 연계와 소셜미디어를 운영하면서 블로그의 기능을 적확하게 사용을 하겠다는 초기 밑그림이 없이는 굳이 개설해서 운영하는 것은 개인적으로는 추천해 주고 싶진 않다. 블로그가 중요한 매체가 맞지만 아니한만 못한 경우를 너무나 우리는 많이 봐왔기 때문이다.


2. 기업 히스토리를 살펴보았는가?


개인적으로 블로그를 만들어 운영하고자 하는 분들이 주변에 많다. 필자에게 문의를 해 오면 쉽게 말씀드린다. 지금 하는 일 또는 취미 등 오래오래 끄적일 수 있는 키워드,아이템을 하나 일단 선정하고 나서 플랫폼을 선정해서 만들어 보라고... 개인 블로그의 경우 이렇게 접근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업의 경우는 다르다. 기업에서 제공하는 스토리가 과연 얼마나 있겠는가? 기업에서 출시되는 서비스와 제품만을 가지고 블로그가 운영이 될 수 있을까? 그렇다고 네티즌들 방문 유도를 위해 SEO 때문이라도 자사와 관련 없는 콘텐츠를 외부에서 구입해서 꾸미는 것도 한계가 있다. 기업 블로그를 고민하는 부서(또는 담당자)는 자사의 창업 때 부터 현재까지의 히스토리를 모두 한 번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늘 새로운 콘텐츠만 블로그에 올릴 수는 없다. 해당 기업이 어떤 기업인지 창업자의 비젼이나 핵심가치는? 창업한 비하인드 스토리는? 10년 정도된 기업의 스토리는 무궁무진 할 것이다. 결국은 우리가 쉽게 이야기하는 콘텐츠에 대한 부분을 오래 동안 블로그를 통해서 나눌 수 있는 스토리라인을 멀리 보고 기획을 해야한다는 것.이 정도만 해 놓아도 매번 이번 주는 무얼 올릴까 하는 고민은 최소한 덜 수 있다. 기업의 블로그 담당자(또는 위탁 기관)이 해당 업무만 하는 것이 아닐 것이기에 사전의 계획은 더더욱 중요하다. 


3. 적극적인 조직의 참여


여러 기업에서 이야기하는 것들 중에 이런 것이 있다. 블로그를 제대로 운영하고 싶지만 전담 인력도 없고 콘텐츠도 없고 외주 운영을 주자니 예산이 문제고... 외주로 주는 것을 먼저 생각하는 것 자체가 블로그에 대한 생리를 모르고 하는 말이라 본다. 외부 전문 기업에 위탁을 줘서 가능한 것이 있고 직접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 일단 기업 블로그라 하더라도 기업에서 직접 운영한다는 가정으로 운영 담당자와 조직의 역할을 부여해 보자. 대기업을 제외한 일반 기업에서는 전담인력을 지정한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 현장의 현실인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에는 부득이 하게 겸임할 수 밖에 없는데 포스팅 및 에디팅 정도를 할 수 있는 실무자를 제외 하고는 관련 부서(주로 홍보,마케팅,경영지원 등)의 모든 조직원들, 특히 부서장 이상이 집필진이 되어야 할 수 밖에 없다. 미려한 문장은 아니더라도 자기 회사에 대한 스토리를 직접 자신들이 거칠더라도 써나갈 수 없는 경우라면 무리하게 블로그를 운영하라고 추천해 드리진 않는다. 결국 부서장급 이상 의사결정권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이다.


위 세 가지 외 많은 부분이 고려해야겠지만 사실 저 세 가지 조차도 고민하는 경우에는 블로그를 운영해도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세가지에서 마무리 한다. 소셜과 모바일에 익숙해 지는 환경에서 기업의 블로그도 변화해야하는 것은 맞다. 하지만 블로그외 페이스북,유튜브,핀터레스트,텀블러 등의 서비스들은 그런 환경 변화에 맞춰 기술적 기능적 진화를 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기업 블로그의 포맷 자체까지 바뀔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기업에서 말하고 싶은 콘텐츠는 계획대로 포스팅을 하고 타 소셜 매체들의 기능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매체 운영에 대한 실행안 정도만 수립해 놓아도 충분하다고 본다.



[출처 : http://teamworkscom.com/2011/04/19/why-a-blog-should-be-the-hub-of-your-content-marketing-strategy/]


개인이나 기업이나 블로그라는 미디어가 위기라는 말들을 많이 한다. 그러나 필자는 블로그와 소셜미디어는 반드시 구분을 한다. 블로그의 대체제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는 아니라는 관점이다. 개인의 퍼스널 브랜딩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이 블로그이며 기업은 브랜딩 보다는 홈페이지나 소셜미디어에서 네티즌들과 이야기나누지 못한 많은 히스토리를 공개,공유하는 형태라는 것이다. 비슷하게 보여도 개인,기업의 목적이 다름에 따라 운영 전략은 바뀔 수 밖에 없다.


최근에 모그룹 주력 기업의 블로그가 워드프레스로 바뀌어 화제가 되었다. 대기업 중심으로의 이슈가 주로 공유가 되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는 자사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는 기업이 훨씬 많다. 개인도 마찬가지.본격적인 블로그의 시대는 어떻게 보면 이제부터가 아닌가 하는 좀 더 긍정적인 생각을 해 본다. 소셜미디어와의 역할 분담을 통해 또 스마트폰을 통한 폭증한 고객들을 통해...


지난 월요일(29일) 점심 무렵 미팅 연락이 와서 갑자기 인터뷰를 하게 된 내용인데 채널아이티 생방송 스마트쇼 중 심층취재(http://vod.channelit.co.kr/index.php/program/episode/epi_no/793)에 소개될 SNS 환경에서 주목 받고 있는 드라마에 대한 부분이었다. 생소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주섬 주섬 찾아보고 인터뷰 내용 준비를 했는데 담당 PD와 편하게 이야기를 한 것 중 일부가 중간 중간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런 저런 생각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는데 포스팅을 통해서 간단하게 사전에 정리했던 내용을 소개해 본다.(추천해 주신 블로거 칫솔초이님께 감사를 ^_^)






Q. 현재 SNS가 엔터테인먼트계에 새로운 현상을 보이는데 이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신다면?

 

=> 본격적으로 대중에게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작년 여름 PSY의 강남스타일이 유튜브와 트위터,페이스북을 통해서 확산/성공부터라고 봅니다. PSY의 소속사인 YG엔터를 필두로 주요 방송사,케이블 사업자,연예기획사 등이 중심이 되어 자사의 방송 컨텐츠와 소속 연예인들의 메이킹 필름이나 방송되지 않은 컨텐츠들을 유튜브를 통해서 공개를 해서 자연스럽게 SNS를 사용하는 팬들이 공유하게 하는 현상이 이제는 일반화되어 있죠.


.


더 나아가서 SNS라는 플랫폼을 단순하게 홍보,마케팅을 위한 미디어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SNS와 모바일 환경을 최우선 고려한 드라마,영화,음악 컨텐츠가 만들어져 확산이 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가속화 되는 것에는 주요 SNS 서비스들의 서비스 발전과 스마트폰,태블릿 등의 디바이스의 꾸준한 기능 향상이 한 몫하고 있다고 봅니다.

 

Q. 그렇다면 SNS 드라마·영화란 무엇인가요?


=> 일종의 광고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접하는 방송,언론 매체를 통한 상품 소개나 단순 기업 이미지 광고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창작물로 SNS 같은 뉴미디어와 방송,신문 등 기존 매체(올드 미디어)와의 믹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영상 컨텐츠라고 보면 됩니다. 장르가 드라마냐 영화냐는 길이와 연재성에 따라 달리 구분하는 것 같습니다.

 

 

Q. SNS 드라마·영화는 언제부터 시작된 건가요?


=> 제 기억으로는 시초라고 볼 수 있는 컨텐츠는 2011년 초에 개봉된 영화 파란만장이라 생각 됩니다. 박찬욱 감독 형제가 연출을 했는데 당시 KT의 기획 및 후원으로 아이폰 4만으로 촬영을 해서 화제였죠. 이 영화는 작품성까지 인정받아 그해 베를린 국제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했고 국제 광고제에서도 많은 수상을 했습니다.


.


SNS 드라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2013년 초 교보생명이 후원했고 조윤희,정겨운 등이 주연을 했던 6부작 러브 인 메모리로 봅니다. 6부작이었고 당시 페이스북을 통해서 많은 분들이 공유와 댓글로 호응을 보내주었었죠. 그 후 많은 기업들이 후원을 한 SNS드라마들이 제작이 되었는데... 화장품 회사가 후원하고 샤이니,F(X)가 출연한 오디션 드라마, 떡볶이 프랜차이즈 죠스떡볶이가 후원한 청춘 드라마, 삼성전자 갤럭시S4 홍보를 위해 정우성씨 감독을 한 드라마 등 있고 가장 주목 받고 있었던 것은 미생 인데요. 최초부터 기업이 후원을 한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웹툰 형태로 포털 다음이 후원으로 임시완 씨등이 주연으로 출연해서 상당항 호응을 얻었었죠.


.



 

Q. SNS 드라마나 영화의 장점이 있다면?


=> 우선 편당 제작비는 천만 원 정도 일반 드라마 제작(또는 PPL)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작품 규모,출연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음)하고, 후원 기업명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색깔이나 소품 등 전체적인 느낌을 통해 자연스러운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결정적인 브랜드 노출 타이밍을 드라마 장면에 삽입해 비용대비 효과의 극대화를 노릴 수 있는 것도 장점입니다. 6부작 10분 이내로 제작을 했을 때 기준으로, 물론 모든 작품이 같다고 할 수는 없지만 150~200만명 도달(,노출)하여 상당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Q. SNS 드라마와 영화가 마케팅의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는데?


=> 애초 광고의 한 새로운 방법으로 시작이 되었기 때문에 목적은 당연히 마케팅입니다. 단 상품에 대한 직접 판매 보다는 기업의 이미지,브랜딩 제고 등과 제작된 컨텐츠를 30초 광고 컨텐츠가 아니라 작품성 있는 컨텐츠로 지속 활용가능하기에 그 용도는 훨씬 넓다고 봅니다. 최근에 구글 코리아에서 발표한 모바일 사용자 행태 분석 자료를 보면 총 1천명의 응답자 중 95%가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1회 이상 시청을 해본 경험이 있고 43%가 매일 시청하고 있다는 놀라운 설문 조사가 있었습니다. 유튜브의 영향 그리고 페이스북의 동영상 커뮤니티의 활성화 등이 원인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바일,SNS 기반의 영상 시청자들이 많아지다 보니 당연기 기업에서는 새로운 광고 시장으로 참여할 수 밖에 없고 맞춤형 컨텐츠로 작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최적화되게 끔 출연 배우도 소수이며 스케일도 적당이 작고 10분 이내의 짧은 영상의 광고성 컨텐츠는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Q. 앞으로의 SNS는 어떻게 변해갈 것이라고 예상하나요?


=>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처럼 대중과 소통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개방형 SNS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를 할 것입니다. 하지만 큰 변화를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보여집니다. 대신 비즈니스 네트워킹과 정보 공유가 중심이 된 링크드인 같은 상호 목적이 뚜렷한 사람들이 모이는 SNS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모바일에서의 SNS 사용자들이 PC 사용자를 앞서고 있다보니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들도 많이 등장하고 있죠. 국내에서도 GPS 기능을 최대 활용해서 나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의 소통이 가능하게 해준 옷깃이라는 폐쇄형 SNS도 출시가 되었죠. 또한 구글 크롬캐스트,글래스 등의 출시가 뜻하는 바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소통,공유보다는 영상을 중심으로 직간접적 체험을 기반으로 한 컨텐츠 SNS로의 전환도 예상이 됩니다


지난 3 8일부터 17일까지(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주 오스틴에서는 The South by Southwest® Conferences & Festivals(이하SXSW)이 개최되었다. 국내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문화,예술,IT,스타트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개인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자세히 보기)

이번 SXSW 행사에서 가장 주목을 받았던 모바일 앱이 있는데 바로 반조(banjo)이다.

 

 

반조 역시 많은 위치기반의 서비스 중 하나 인데 자신의 근처에 있는 연락처상의 친구 또는 소셜미디어 상의 친구를 찾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정보와 함께 GPS 데이터를 사용하는 일종의 소셜 디스커버리 서비스이다. 반조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SXSW 장소에서 소셜미디어 유저들이 올린 사진과 정보들을 모두 볼 수 있었다.(지금은 행사가 끝나 내려갔네요)

반조는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포스퀘어, Google+ 그리고 링크드인까지 개인의 소셜미디어 계정에서 친구들 정보를 가지고 와서 아래와 같이 보기 편하게 시간대별로 나열해서 보여주며 주요요지역을 즐겨찾기 가능하고 전세계 지역의 소셜 친구들 활동을 볼 수가 있다. 글로벌 행사가 있을 경우 또는 셀럽 등 주제를 정하면 해당 키워드에 따른 소셜 친구들의 포스트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나랑 바로 연결된 친구들이 어디있는지 지도보기를 제공는데 지도는 구글맵을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 길찾기 기능까지는 지원하고 있지는 않고 있다.또 반조는 알림 기능을 활성화해 놓으면 주변에 있는 친구를 알려주고 있는데 이렇게 위치 기반의 소셜 포탈과 같은 반조는 이미 4백만명의 회원을 유치하고 있어 지역기반 마케팅을 원하는 기업들이 M&A 1순위로 노리고 있다는 후문이...

 

또한 모든 소셜 계정을 연결해 놓으면 친구와 친구 사이에서 어떤 서비스를 통해서 내가 알고 있는지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아래 처럼 보여줘서 친구와의 친밀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상호간에 서로 알고 있는 친구를 제시해 주고도 있다. 페이스북의 친구 매칭 로직과 비슷하다고 봐야할 듯. 짧지만 반조 서비스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는데 아직 우리나라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 사용자가 드문 서비스이다. 위치기반 서비스 중에서는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앱 서비스로 무료로 제공되니 다운받아서 사용해 보시면 여러가지 서비스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편리하기도 하고 위치기반에 따른 지역 마케팅 서비스 기획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 아이폰 앱 다운로드 : 요기 

* 안드로이드 앱 다운로드 : 요기  

 

 

※2013년 3월 정보화진흥원 배움나라에 기고한 글 중 일부 각색함.



오늘(3월 19일) 오후 3시에 카카오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오픈한다는 기사가 올라오면서 저에게도 미디어킷 자료와 함께 안내 메일이 도착했습니다.


바로 "카카오 플레이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스마트폰 사용자의 가장 큰 특징인 '위치' 공유에 대한 정보를 카카오의 핵심인 '친구'구 들과 공유를 하겠다는 모델입니다. 앞서 카카오통 외에 사용자 확보에 성공한 SNS는 카카오스토리인데 하나의 계정으로 주요한 기능별 앱(서비스)을 만들어 유기적으로 연계를 시키겠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실제 구동 화면입니다. 어떤 식당에 갔을때 우리는 흔히 포스퀘어나 페이스북의 위치,path 등을 이용하여 소셜인맥들과의 공유를 합니다. 같은 맥락인데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역시 자신의 카카오톡 친구들과 쉽게 공유하고 친구들의 움직임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전체적인 UI는 기존의 위치기반 소셜들과 크게 다를 것은 없어 보입니다. 물론 스크린샷만 보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카카오 서비스 중 최초로 검색 기능을 선보이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카톡 친구들이 추천하는 곳이 제공이 되네요. 다른 소셜서비스들과 다르게 카카오 친구들은 이미 어느정도 안면이 있어 전화번호로 공유된 조금은 타이트한 관계이기 때문이 친구라는 매개체가 강력한 파워를 자랑합니다. 이것이 카카오의 핵심이죠. 그러니 포스퀘어나 다른 위치 기반 서비스 보다는 추천 식당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또하나의 비즈니스(?)가 생성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그리고 기사에서도 나온적이 있는데 아이나비의 엔진을 이용하여 내비 버튼을 눌러 길찾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이력을 자연스럽게 카카오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포털에서 제공하는 길찾기 서비스를 많이 이용했는데 카카오를 많이 이용하시는 분들은 이 서비스도 많이 사용할 듯 하네요...


제가 받은 자료에 의하면 이 정도입니다. 엄청나게 새로운 서비스라 할 수는 없지만 카카오가 선보이는 것이기 때문이 주목을 받고 전국민적 관심사항인 듯 합니다. 어떤 비즈니스에 어떻게 활용을 하면 될까요? 그림을 한 번 그려보겠습니다. ^_^;


- 카카오플러스 친구 ver.2에 삽입될 광고주 대상 위치기반과 길찾기 기능 파일럿

- 친구들 끼리의 오프라인 모임 활성화 유도로 또 다른 비즈니스(예. 업체 소개 추천 광고 등)

   ==> 카카오플레이스 추천 맛집, 할인 쿠폰 등 다양한 마케팅 플랫폼 가능(정보 축척)

- 최초의 검색(탐색) 기능으로 인한 사용자 패턴에 대한 분석 가능


결국은 카카오의 모바일 플랫폼을 거대한 마케팅 플랫폼으로 연계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봅니다. 카카오톡은 메신저로써 사용자 확보를 하기 위한 소스일 뿐이고 게임은 그 가능성을 확인한 부분이며 이러한 것을 중심으로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마케팅 툴로써 준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곧 출시될 카카오페이지 - 카카오플러스친구 ver.2 - 카카오스토리 플러스 등과 이번 카카오플레이스 역시 단독 서비스라기 보다는 이러한 전략을 토대로 준비가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앞으로도 상반기 동안 몇개의 서비스가 더 나올 것으로 알고 있는데 모바일 사용자를 공략하기 위한 기업들의 카카오에 대한 관심이나 검토가 더욱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얼마 전에 카카오 블로거데이에도 참석을 해서 위 처럼 카카오 페이지에 대한 소개와 전망을 한 적이 있습니다. 조금 시간이 지나긴 했지만...지난 5() 저녁 컨텐츠 퍼블리셔 입장에서 다시 역삼동 이전 카카오 사무실 세미나실에서 진행하는 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 이전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았고 그에 대한 소개와 다시 한번 카카오 페이지에 대한 예측을 해 보겠습니다.

 


  

1. 퍼블리셔 가입 조건

 

- 일반 개인판매자, 개인사업자,법인사업자

- 연회비 개인 연 5만원, 기업 10만원

 

2. 웹에디터

 

- 퀵페이지 에디터, PC 기반의 웹에디터. 네이버 블로그 유사, 4가지 포맷을 조합해서 개발 가능

(텍스트,이미지,음성,영상)

- PDF(인디자인,,PPT PDF로 저장) 업로더 제공 : 판형 가이드 제공하나  음성과 영상 삽입 

페이지는 웹에디터에서 따로 제작해서 삽입해야 함.

- 두 가지 모두 활용하는 것이 가장 추천해 준다고 함.(아직 실제 써보지 않아 모르겠음)

 

3. 컨텐츠 구성

 



 

- 표지

- 소개

- 본문

- 엔딩 페이지(댓글,연관 컨텐츠 등)

- 퍼블리셔는 표지와 본문만 작성해 주면 됨.

 

4. 멀티미디어 지원

 

 - 이미지 제공 : 3:4, 1:1, 4:3 + 텍스트 조합 가능

- 풀이미지,동영상+텍스트,텍스트

- 이미지+오디오, 텍스트+오디오

 

  ==> 궁금했던 점본문과 더보기 기능 제공, 스크롤은 얼마나 가능?

 

5. 콘텐츠 등록


 - 등록센터 별도 제공, 퍼블리셔가 자유롭게 가격 설정

- 카카오에서 선호하는 컨텐츠의 구성 

 

) 잠자기 전 엄마가 들려주는 10분 이야기

  - 매일 저녁 6시에 엄마가 아이와 함께 이야기할 것들... 한 달 자유이용권 1000

  - 이야기,동화,그림,영상 등

  ==> 시리즈 형태로 된 것으로 구성해야 함.

 

6. 서비스 가격 유형

 

- 무료,유료,패키지,자유이용권 제공 가능하게 하나 운영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7. 구독 및 퍼블리싱 전략

 




- 보관함과 상세 화면은 팟캐스트와 유사

카톡을 통한 페이지 스토어와 뷰어앱 배포하는 전략

랭킹,친구 랭킹 서비스 제공(스토어에서)

- 카카오스토리와 낱장 페이지를 공유할 수 있게 제공

- 친구의 보관함을 볼 수 있는 기능 제공(공개했을 경우에만)

- 자유이용권의 경우 같은 상품을 친구에게 선물할 수 있음.

- 친구 랭킹이 메인 랭킹으로 제공(내 친구가 가장 많이 사고 본 컨텐츠를 우선 보여준다)


 

 

 

8. 상품 기획 시 포인트



- 기존 컨텐츠의 컨버팅이 아니라 새로운 컨셉과 기획이 필요(강제로 제한을 둘건가?)

- 모바일핏과 큐레이션이 가장 중요

- 무료/유료의 자연스러운 결합

- 다양한 상품의 패키징

 

[질의 응답 시 나온 내용 일부]

 

- 광고성 내용은 차단할 예정, 홍보성 내용을 컨텐츠화 해서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나 검수 예정

- 아웃링크는 가능하나 검수 과정에서 걸러낼 예정(지도,정보성 사이트 링크 등은 가능)

- 시리즈물을 모두 무료화하는 것은 금지(유료 비중 얼마 할 지에 대한 가이드 제공 예정)

- 화면 상의 텍스트 사이즈의 경우 노트까지는 자동으로 확대될 예정(갤럭시3,아이폰5 등은 하단 여백 들어갈 수 있음(태블릿은 없음)

- 쇼핑몰 카탈로그 형태는 허용하지 않을 예정

- 랭킹의 로직 : 다운로드 수,공유,댓글 등의 활동성 지수,매출액 등 종합 고려(광고는 없다)

- 1초코 100, 100원 단위로 변동 가능, 최저 가격 가이드 제시할 예정

- 뷰어 안에 스토어가 있는 개념(다운로드 후 감상), 음성,영상에 DRM 적용 예정

- 자유이용권 3가지 : 30,90,180 -> 안정화 후 1, 무제한 등 고려 가능

 

 

[생각 정리]

 

1) 생각 했던 것과 조금 다르다

 

* 필자가 잘 알고 있던 비즈니스 모델이었기에 사업성이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았던 카카오 페이지였는데 실제 구체화된 설명을 듣고 나니 역시 아직은 컨텐츠 셀프 퍼블리싱 시장은 한계가 있나? 라는 생각을 안할 수가 없었습니다. 일단 계정 만드는 데 개인은 5만원 법인은 10만원이라는 비용을 받기로 했다고 합니다. 물론 카카오 입장에서는 유통되는 컨텐츠 퀄리티 콘트롤, 인건비 등을 고려했겠지만 카카오 페이지를 어떻게 새로운 마켓을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 이해도가 없는 상황에서 굳이 유료화에 대한 부분을 미리 언급해서 장벽을 만들 필요가 있었을 까 하는 생각이네요. 


* 개념은 좋았는데 콘텐츠의 시리즈화를 거의 필수 조건 처럼 전제하고 있고 가격 정책 또한 기본적으로 무조건 유료화만을 해야 한다는 것 역시...개인이 하기에는 벅찬 것이 많이 있습니다. 유사한 모델 준비를 하면서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개인 퍼블리셔들을 많이 만나봤기 때문입니다.


* 카카오이기 때문에 가능한 모델이긴 하지만 뷰어 앱이 따로 있고 PC 기반의 웹 에디터 등이 따로 있는 등 사실 손이 많이 갑니다. 점점 간소화된 기능을 좋아하는 환경에서 얼마나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지는 모르겠습니다.


* 서비스 확장 전략이 좀 구체적이지 않습니다. 게임이 단기간 바이럴 형태로 폭증한 것과는 다릅니다. 페이지에서 만들어진 컨텐츠들은 친구가 보고 듣고 있어 관심을 갈 지언정 자신이 소비를 해야할 만한 가치와 동기부여가 없다면 사용이나 구매로 이루어지기 쉽지 않은 성격 때문입니다. 카카오 측에서 계속 고민 중이겠지만 제 질문에는 명쾌한 답을 안해주더군요.


* 카카오 플러스 친구 등 마케팅 상품과의 차별을 위해서 제약 조건을 너무 많이 두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웃링크나 홍보 문구,이미지 등에 대해서는 선별하겠다고 하는데 결국 손을 내겠다고 하는 것입니다. 가입비까지 내 가면서 노골적인 홍보는 아니더라도 카카오 사용자들 대상으로의 홍보는 당연히 고려할 부분이라 봅니다. 좀 더 유연한 정책이 아쉽습니다.


* 태블릿 지원이 아직이라고 하니 아쉽네요. 특히 아이들용 컨텐츠의 경우 전자책 형태든 영상이든 간에 태블릿 사이즈가 효과적일 것이라 보여집니다. 카카오 페이지 뷰어 앱 만이라도 태블릿용을 준비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2) 문제는 메시지와 확산성


* 3월 정도 상용화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문제는 어떤 메시지로 사용자 아니 컨텐츠 제작 유통하는 퍼블리셔들을 유치하는 가입니다. 현재 수준에서 본다면 가장 유리한 집단(?)은 웹툰 작가와 분절화된 영상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방송 매체 라고 봅니다. 이러닝 업체는...음 ㅠㅠ 이 기준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어떤 걸 가지고 있냐의 기준입니다. 카카오 페이지에 최적화된 컨텐츠만 기획 생산하는 전문가 또는 회사가 나올 수도 있지만 아직은 시기상조입니다.


* 기존의 컨텐츠 보유 개인, 법인이 과연 가능성만 보고 카카오 페이지에 커스터마이징 하게 컨텐츠 재가공에 투자를 할 것인가입니다. 그 의사 결정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카카오 입장에서도는 매력적인 컨텐츠를 가진 퍼블리셔들을 빨리 입접을 시켜야 할 텐데 사실 앞서 언급한 분야를 제외하고는 갸우뚱 거리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해 주어야 할까요? 아직은 부족하다고 봅니다.


* 애니팡 등의 카카오 게임의 성공으로 유통 플랫폼으로써의 가능성은 분명히 있지만 컨텐츠 생산자와 사용자 중간 역할을 하는 것은 또 다른 역량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나이 드신 분들이 카카오톡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그 분들을 위한 뷰어앱 확산 전략이나 연령층 서비스 구분 등 아직 시간은 조금 더 있으니 기술적인 부분보다 운영적인 차원에서의 세심함이 더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 나름대로 현 카카오 서비스들하고의 연결 로직은 잘 준비하고 있겠지만 실제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에 대해서는 좀 더 파악해 볼 필요가 있을 듯 하네요. 뭐 제가 이렇게 말해도 개임 처럼 대박이 날 수도 있겠죠 ㅎㅎㅎ 그럼 좋은 것이겠지만 흐름을 본다면 결과가 예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 결어


시장은 카카오의 행보를 유심히 보고 있습니다. 그 만큼 국내외 모바일 비즈니스의 표준화가 되어 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그 만큼 다양한 시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해서 자신만의 고유 BM을 만들어야 할 겁니다. 카카오 페이지의 경우 경험으로 본다면 앱스토어의 사례 보다는 아마존의 사례를 많이 보았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로 회사 업무적으로 저는 페이지에 계정을 만들어서 사용을 할 겁니다. 저 같은 의사 결정을 한 사람을 빨리 많이 만들어야 겠죠. 그러기 위해서는 약간의 매스 마케팅도, 니즈 환기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새해에는 좀 더 발전된 모습을 기대합니다.






[본 포스트는 2012년 여름 정보화진흥원 배움나라에 기고되었던 글입니다]


우리 생활 거의 대부분이 디지털화가 된 지금 이 세상, 일년에 생산되는 정보량은 우리가 상상했던 것 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말 그대로 정보의 홍수,아니 대지진의 속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말씀을 드릴 수 있겠습니다.

2011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생성된 정보량이 어느 정도였을까요? 미국 IT 시장조사기관인 IDC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1.8제타바이트(1.8조 기가바이트)라고 합니다. 생소하시죠? 32기가바이트의 태블릿PC가 575억개가 필요한 양이라고 하네요. 이 걸 펼치면 서울 면적의 2.1배라고 하고 대한민국 모든 사람이 쉬지 않고 17만 847년 동안 내일 트윗 3개를 게시할 경우 생성되는 정보량이라고 합니다. 짐작이 안되시죠?

이런 정보를 계속해서 글(텍스트) 중심으로 그리고 의미 연결이 쉽지 않은 사진(이미지) 등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려면 불편한 점이 한 두개가 아닐 겁니다.

그래서 지난 번에 소개해드린 정보의 정리/분석, 큐레이션 개념을 도입하여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기 편하게 만들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인포그래픽(인포메이션+그래픽)입니다.

마치 굴러다니던 구슬을 꿰어야 보내일 듯이 무질서한 정보를 하나의 이야기로 꿰어내는 인포그래픽스는 정보에 일정한 질서와 체계를 부여하여 그 가치를 높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넘쳐나는 정보에 대한 합리적 소통과 전달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지금, 커뮤니케이션에 고민하는 전통적인 인쇄 매체는 물론 웹을 비롯한 뉴미디어가 인포그래픽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해외에서는(특히 미국) 이미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보편화된 서비스가 되었으나 국내에 알려지고 전문서비스를 하는 기업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불과 2년 남짓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사이트에서 인용해온 인포그래픽 이미지 파일입니다.

[출처 : http://itsasmallweb.files.wordpress.com]



미국 SNS에서 소개되었던 인포그래픽에 대한 인포그래픽 샘플과 국내 사이트에서 소개되었던 기부에 관련된 인포그래픽입니다. 단순 글(텍스트)과 그래프 또는 사진만으로 보는 것 보다는 훨씬 더 눈에 쏙 들어오시죠?


그렇다면 이러한 인포그래픽을 실제 우리 주변에서는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지금 멀리 영국 런던에서는 2012 올림픽이 성황리에 개최되고 있는데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여러 사건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올림픽과 관련한 인포그래픽, 아니 인터랙션 그래픽을 소개해드립니다.

[출처 : http://www.nytimes.com/interactive/2012/07/18/sports/olympics/lolo-jones-cleared-for-takeoff.html]

뉴욕타임즈에서는  올림픽 개최 전에 허들과 접영 등 네개의 종목에 대한 주요 동작과 설명을 인포그래픽을 이용해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상단에 있는 이미지는 동영상으로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실사와 애니메이션이 동작이 되어 설명을 합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세부 동작을 깔끔한 이미지의 인포그래픽으로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이런 형태는 인포그래픽의 변형으로 동영상 또는 시뮬레이션과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표현해서 글(텍스트)는 최소화 해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것으로 인터렉션 그래픽 또는 인터렉티브 그래픽이라고도 합니다.

이렇게 시각적인 부분은 아무래도 언론(미디어,방송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들 하고 있고 아래는 국내 IT 전문 언론인 전자신문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포그래픽입니다. 지난 페이스북 기업공개할 때의 현황을 한눈에 들어오게 정리한 인포그래픽입니다.


[출처 전자신문]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주커버그를 중심에 놓고 주요 수치를 이미지화 하여 표현하고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인포그래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국내 언론에서는 전자신문,조선일보 등으 앞장서서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서울시 예산을 인포그래픽화 한 이미지인데 문자와 수치 그리고 도표로만 구성이 되었다면 이해는 커녕 눈에 들어오지도 않을 겁니다. 인포그래픽으로 구성을 해보니 어떤 분야에 얼마나 많은 예산이 어떻게 투입이 되고 있는 가가 일목요연하게 보여집니다. 주로 통계가 많은 국가 기관 또는 단체에서도 인포그래픽 사용과 제작이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금은 색다른 활용사례인데, 독도 사랑 캠페인의 일환으로 모 기업에서 프로젝트로 독도 사랑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여 기념 티셔츠를 만들었던 사례입니다.

독도의 지리적 위치와 연관되는 인물들 그리고 상징하는 조류인 괭이갈매기를 위 처럼 인포그래픽화 하여 티셔츠 앞과 뒷면에 프린팅을 하여 판매를 한 사례입니다.

인포그래픽은 대기업이나 국가기관 등에서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표현할 수 있는 내용(콘텐츠)가 있다면 이미지화 할 수 있는 기획력만 있다면 개인의 블로그나 SNS를 통해서 공유하고 유통을 할 수가 있습니다.

위 사례 말고도 해외에서는 인포그래픽 영수증, 우유팩, 달력 등 우리 생활 주변에 있는 것들에서 인포그래픽 개념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포그래픽이 주목을 받고 있다고 말씀을 드렸는데그럼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요 라고 물어오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그래서 국내외 주요 사이트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국내의 경우 주로 포털사이트들을 많이들 사용하시는데 포털 사이트의 서비스에는 아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문적으로 인포그래픽 서비스를 하는 디자인 기업과 일부 미디어 회사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 사이트 부터 간단하게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1. 인포그래픽스(www.info-graphics.kr)

국내 전문 인포그래픽 디자인 회사의 서비스를 아직은 만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단순하게 디자인 실력만 있어서 되는 것도 아니고 트렌드와 통계,숫자에 민감하고 잘 배치할 수 있는 기획력이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지금 소개해드리는 인포그래픽스는 2009년 설립된 바이스 버사 디자인 스튜디오라는 곳에서 선보인 인포그래픽 서비스 사이트입니다. IT,정치,경제,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인포그래픽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포그래픽 서비스가 필요한 기업이나 관공서로부터 관련 데이터를 받아서 맞춤형 제작을 해주는 곳입니다. 그리고 인포그래픽 제작을 위한 템플릿이나 툴을 제공하고 있어 서비스를 검토하고 계신 개인이나 기업에서는 참고를 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2. 인포그래픽웍스(www.infographicworks.com)  

1번 인포그래픽스와 유사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전문 서비스로 주로 산업,미디어 등과 밀접한 분야에 대한 인포그래픽 서비스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역시 분야는 IT,정치,사회,생활 등 다양하나 독도 관련 인포그래픽도 선보이는 등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인포그래픽웍스는 전자신문의 인포그래픽 서비스의 파트너로도 알려져 있어 언론사의 기사와 통계를 인포그래픽화 하는데 앞장을 서고 있다. 더불어 디자이너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고자 하는 별도 코너도 마련하고 있어 참고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3. 조선일보 인포그래픽 서비스(http://inside.chosun.com)

국내 메이저 언론사인 조선일보도 자사의 인터넷 서비스 조선닷컴을 통해 위와 같은 인포그래픽 서비스를 전문화하여 하고 있습니다. 다른 전문기관과는 조금 다르게 기존에 글(텍스트)와 실사 사진 중심의 기사에서 기사는 물론이거니와 데이터,통계,숫자를 디자인화 하여 기사를 읽는 독자들에게 훨씬 더 쉽고 가볍게 다가가는 인포그래픽 뉴스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기존 언론사의 이러한 시도는 불과 1~2년전에는 생각지도 못한 서비스로 이제는 읽고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보다는 한 눈에 보는 것으로 모든 정보를 소비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한다는 것이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 봅니다. 주요 사건,정치적 이슈,생활 정보 등을 인포그래픽으로 만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해외 인포그래픽 사이트입니다.

4. 가장 많이 알려진 비쥬얼리(http://visual.ly/)

아마도 국내에서 소셜미디어 서비스나 디자인을 하시는 분들께 가장 많이 알려진 인포그래픽 전문 사이트가 바로 이 비쥬얼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사이트명과 주소도 완전히 시각적인 서비스라는 것을 드러내놓고 있죠.

국내 사이트보다 제공하는 분야가 굉장히 세분화 되어 있고 직접 제작한 인포그래픽을 공유할 수도 있는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아마도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인포그래픽 서비스 중에서는 그 질이나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큰 사이트가 아닐까 합니다.

이전에 큐레이션 서비스를 하면서 알려드렸듯이 사각형으로 된 이미지 컨텐츠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기가 가장 쉽다고 했는데 그에 걸맞춰 비쥬얼리에는 기본적인 소셜서비스와의 연계가 아주 쉽게 되어 있습니다.

해외 인포그래픽 사례를 찾고 싶어하는 분께 추천 드리는 사이트입니다.



5. 패셔너블한 사이트,매셔블(http://mashable.com/)

매셔블닷컴은 인포그래픽 전문 사이트는 아닙니다. IT,모바일,SNS,마케팅 업계에 계신 분들은 아마도 거의 다 아시는 IT,소셜미디어,마케팅 등에 대한 뉴스와 기획물을 연재하는 어떻게 보면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 서비스입니다. 그런데 이 매셔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사나 콘텐츠를 보면 인포그래픽 형태로 된 것이 굉장히 많습니다.

기사와 더불어 같이 보게되면 그 이해는 더욱 빨라지며 SNS에 최적화된 미디어 서비스이다 보니 역시 주요 SNS와의 공유 기능은 아주 편하게 되어 있습니다. 특히 매셔블에서 제공하는 인포그래픽 콘텐츠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핀터레스트에서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핀터레스트 계정으로 공유하는 사람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죠.


지금까지 인포그래픽의 개념과 주요 서비스 사이트와 활용 사례를 일부 소개를 해 드렸습니다.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보보다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정보의 전달력과 표현력이 월등하기에 앞으로 소셜서비스와 연계된 인포그래픽 서비스는 더욱 확대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본 데이터는 http://www.twitonomy.com 에서 발췌를 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 사이트에서]


이제 대통령 선거가 두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유력 후보 3명이 치열한 공방이 오가고 있는데 우연히

트윗 분석하는 사이트에서 제 트위터 현황 분석을 하다가 세 후보의 트위터 경향을 비교해 볼까?

하는 단순한 호기심에 정리를 하면서 트위터를 활용한 세 후보의 차이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비교한 항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후보 순서는 툭별한 의미는 없습니다. 그리고 기간은 세 후보가

모두 다릅니다. 세 후보 캠프의 공식 트위터 계정만 가지고 했습니다.







012



+ 활동 기간 : 박근혜 후보가 가장 이른 2010부터 시작을 하고 가장 늦게 대선에 뛰어든 안철수 후보의

                  진심캠프 계정은 불과 열흘에 대한 데이터를 발췌했습니다. 박근혜 캠프 측에서는 올 

                  여름부터 활발하게 활동을 했는데 문재인 캠프의 경우 올 4월 총선이 있을 때에도 굉장히

                  활발한 SNS 활동을 하고 있었네요. 4월 총선에서의 SNS 위력을 알게 되어 그 이후

                  여름부터 신경을 쓴게 아닐까 합니다.                  


+ 팔로잉/팔로워 : 활동기간에 비하면 안철수 캠프의 커뮤니케이션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박근혜

                         후보의 경우 팔로워 대비 팔로잉 하는 유저의 수가 적은데 받느시 맞팔을 할

                         필요는 없겠지만 대선 후보로써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트윗 수 : 하루 평균 트윗 수는 활동 기간이 짧은 안철수 캠프가 절대적으로 높습니다. 가장 늦게

                뛰어들어 활동량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생각했기에 소셜을 통한 알리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박근혜 캠프는 2일에 한번 꼴로 트윗을 하는군요. 이 자료에는

                없지만 박근혜 우호 계정이 워낙 많아서 대선 출마 전에는 그런 우호 계정에서의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옵니다. 문재인 캠프는 하루 5개 정도의 트윗을 하고 있네요


+ 리트윗/멘션 : 박근혜 캠프 측에서 리트윗을 한 것은 거의 없습니다만 리트윗 된 비율은 거의

                      100%에 가깝습니다. 멘션하는 비율도 세 후보중 가장 높습니다. 아마도 고정 지지층

                      (또는 아르바이트?)이 가장 많다는 반증이 될 수도 있겠죠. 반명 직접 리트윗을 

                      한것은 1건으로 가장 저조합니다. 리트윗 비율은 문재인 캠프가 10%나 되네요.

                      그 만큼 트윗 내용을 통한 상호 교류가 잘 되고 있다고 봅니다. 안철수 캠프측은

                      늦게 시작한 만큼 상호 소통 건수와 비율을 높여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공개된 세 후보 캠프의 트윗을 모아서 비교해 보았는데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정리한다면....


==> 박근혜 후보 계정의 경우 이미 활동 중인 우호 계정을 잘 취합하여 고정 리트윗과 멘션을 날리는

      유저들이 많다는 것 문재인 후보 계정의 경우 적극적인 소통을 하려는 노력이 보이고 가장 활발

      하게 활용하고 있지만 트윗의 재생산 부분인 리트윗 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 후보보다 

      뒤진다는 것.

      특히 박근혜 후보 계정보다 10% 가까이 뒤진다는 것입니다. 안철수 후보 계정 역시 이 전에

      우호계정이 있었으나 조직적 활동보다는 개인이나 연구소 개념의 계정이 많아 현재로써는 가장

      뒤쳐져 있습니다. 늦게 시작을 했기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죠.


      남은 2개월 동안이 SNS를 활용한, 특히 트위터를 활용한 정책과 이념 공방이 더욱 치밀해 질 것

      같습니다. 


필자의 정치적 방향이나 지지 후보는 물론 있지만 배제하고 있는 데이터를 보고 판단한 의견입니다.

약간의 사심(?)은 들어가 있을 수 있습니다. ^__^;


페이스북 페이지 활용 부분은 혹 찾게되면 그 때...쩝. 


                   




※2012년 상반기, 정보화진흥원 배움나라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CJ에서 서비스 중인 인터레스트 미는 제외했습니다. 미디어적인 서비스 중심으로 소개)



어릴 적에 집을 어지럽게 늘어 놓으면 어머님이 잔소리를 하시며 모두 정리를 하십니다. 그럼 집안이 깔끔해지고 넓어보이고. 어떻게 어머님들은 그렇게 빠르게 잘 정리를 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분명 같은 물건 같은 장난감들인데...

물건만 정리하는 시대가 아니라 ‘정보’,’지식',’컨텐츠'를 정리를 해서 낱개로 흩어져 있을 때는 못느꼈던 새로운 가치를 찾아낼 수 있는 개념이 전 세계 웹,모바일 서비스에 새로운 강자로 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큐레이션'(Curation)이란 개념은 단어의 느낌에서 아시겠지만 ‘큐레이터' 라는 용어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유물,작품의 보존 관리, 가이드,마케팅 등 전반적인 일을 하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좋은 작품을 잘 정리하고 배치하고 각각에 스토리 라인을 잡아야 하는 그들의 역할을 잘 생각해 보시면 ‘큐레이션'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SN와 모바일이 생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지금 그럼 왜 큐레이션 이란 개념이 뜬 걸까요?
엄청나게 생산되는 정보와 공유되고 있는 지식의 물결 아래서 우리는 정신없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고 어떤 건 보고 어떤 건 보지 말아야할 지 정리가 안되있으면 걸러내기가 어렵습니다. RSS FEED를 이용해서 내가 보고 싶어하는 블로그의 포스트만 보던 리더(Reader)들도 이런 큐레이션의 개념에 속할 수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앞에 소셜(Social)이란 단어가 붙습니다. 왜 그럴까요? 앞서 언급한 대로 지금은 단지 SNS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아지는 것 때문만이 아니라 나를 제외한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더욱 중요해 지고 예전처럼 만나지 않아도 그 관계성을 이룰 수 있는 대안이 너무나 많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 뿐만 아니라 정보와 정보, 컨텐츠와 컨텐츠 사이의 관계도 유사점을 교집합화 하여 정리와 공유와 재생산이 가능한 시대이기 때문에 소셜 큐레이션이란 용어가 대두된 것이라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국내에 소셜 큐레이션의 개념을 처음 소개한 서비스는 많이들 아시는 핀터레스트(www.pinterest.com) 입니다.(아래 이미지 참조. 필자의 핀터레스트 홈화면)


핀터레스트는 2009년 미국 예일대 학생들이 만들어서 현재와 같은 ‘초대'해서 승인하는 단계를 도입한 완성된 서비스는 2010년 8월부터 시작했으며 2년도 안되는 짧은 기간에 트래픽ㅍ이 페이스북과 트위터 다음으로 높은 SNS가 되었습니다. 지난 3월 페이지뷰가 2억3천만회라는 엄청난 트래픽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pin과 interest의 합성어로 냉장고에 자석 핀으로 메모지를 붙이는 것에서 착안을 해서 직사각형의 프레임 안에 맞는 이미지와 영상을 공유하는 서비스입니다. 그게 뭐가 대단해? 라고 하실 수 있을 텐데...핀터레스트가 뭐다라는 소개는 여기까지 하고 왜 소셜 큐레이션이 주목을 해볼 만한 서비스인지 제 의견을 말씀드려보겠습니다.

1. ‘소비'에서 중요한 것은 생산자가 아니다?
  
   우리가 시장에서 또 마트에서 물건을 살 경우 파는 그 분들은 생산자일 수도 있지만 사실 유통업자들이십니다. 소매업을 하시는 유통과 전시 전문가들이시죠. 그들이 유통해온 물건이 얼마나 신성하고 맛있게 보이고 손이 가게 끔 전시를 하느냐에 따라 소비자의 손이 바빠집니다. 저는 정보나 지식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핀터레스트가 그런 유통업자의 역할을 아주 심플하면서도 이쁘고 있을 건 다 있게 하고 있기 때문에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로의 정보 재생산을 엄청나게 하고 있는 것입니다. 페이스북의 사용자의 20%가 핀터레스트를 매일 사용한다는 소식도 있었고 필자인 저도 모두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간의 관계는 역시 예상한대로 팔로우(Follow)라는 개념으로 엮기게 됩니다. 하지만 최초 계정을 개설하는 것은 초대장을 받게함으로써 무언가 가치있는 서비스라는 인식을 주기도 하죠. 그리고 핀 하나 하나를 보게되면 이 정보의 출처부터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 또 카테고리,원천소스,트위터나 페이스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기능 등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한 화면에서 보기 좋게 나열을 해주고 있어 사용성도 높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전의 웹 서비스는 하나의 정보가 전달되면 거기서 끝이 났습니다. 결국 부가가치를 일으킬 수가 없었던 것인데 이미지나 영상 정보를 이렇게 구성하고 카테고리 별 정리가 잘 되어 있다면 사용자에게는 또 다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사각형이 주는 매력

  캡쳐 이미지에서 보실 수 있겠지만 전달되는 형태는 모두 사각형입니다. 텍스트를 모아서 사각형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자체를 사각형 프레임 안에서 전시할 수 있게 한 것인데 이것이 별거 아닌 것 같은데 모바일 환경에는 최적화된 서비스가 되고 있습니다. 우연히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애초에 그렇게 기획을 한 것이라고 볼 수 밖에 없겠죠.

  또 사각형은 안정적인 도형이기 때문에 보는 사람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부분까지 고려했을 지는 모르겠네요. ^^


3. 사람은 점점 편한 걸 원한다!?!?

대표적인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로 핀터레스트를 소개해드렸습니다. 핀터레스트는 일단 웹상의 눈에 보이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라는 것을 확실히 알수 있습니다. 하지만 꼭 사각형 배치만 한다고 큐레이션 만은 아닙니다.

큐레이션을 하는 목적,원하는 가치에 따라 여러가지 분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그럼 우리들은 왜 이런 큐레이션 서비스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을어나고 있을까요?
아마도 인간 심리에서 어떤 물건을 사용하면 할 수록 점점 편하고 빠른 것을 원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웹 2.0 시대에서의 혁신 중에 하나가 블로그와 더불어 feed 기능을 이용한 Reader 웹 사이트들의 등장이라고 봅니다. 구글리더가 있구요. 국내 서비스로는 HAN RSS가 있습니다. 저도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내가 정보를 검색을 통해서 찾아다니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정보의 패턴을 미리 입력하여 한 화면에 모아서 볼 수 있고 카테고리화할 수 있는 기능이라 굉장한 파급효과가 있었습니다. 이 역시 지금 돌이켜 보면 정보의 정리, 큐레이션이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 결국 더 편하고 쉽게 정보를 취득하고자 하는 사람의 욕구에서 발전된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셜 큐레이션은 거기서 한발작 더 나가죠. 이미지와 영상을 형상화하여 화면에 배치하고 대표 SNS인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과의 공유가 자유롭게 되는 것이죠. 여기엔 스마트폰이라는 획기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반화가 불씨를 당긴 것이죠.

웹에서 또 모바일에서 내가 보고 싶어하는 것 읽고 싶어하는 것만 보기좋게 보고 즐긴다 그리고 나를 아는 다른 사람들(친구)과도 공유하며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것이죠. 어떻게 보면 페이스북 같은 친구라는 매개체를 이용한 친목 도모하는 SNS와는 다르게 철저하게 시각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공유하게 되는 것이 약간은 다릅니다.

아래는 태블릿에서 먼저 서비스하여 글로벌 히트한 소셜매거진 형태의 큐레이션 서비스 “Flipborad”의 웹 사이트 초기화면입니다. 보시는 것 처럼 초기 화면이 사각형들의 배치로 이루어져 있고 마지 매거진을 보는 것 처럼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저 안에 있는 정보들은 Flipborad 운영사 측에서 추천해주는 다양한 카테고리의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고 자신의 페이스북,트위터 등 SNS 계정과 RSS 리더 계정까지 연결하여 자신에 맞춤형 정보를 실시간으로 매거진 형태의 잘 정리된 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저 안에서 글을 쓰고 업데이트하는 기능도 가능합니다. 얼마나 편리졌습니까? 흩어져 있는 정보를 잘 짜여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구조가 사람들에게 작은 차이점을 주면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히트 상품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 Flipborad 로 인해서 큐레이션 소셜 매거진이라는 개념이 시장에서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4. 꼭 웹,모바일에서만 큐레이션이 가능한가?

기술 중심의 최신 트렌드에서 필수적으로 언급되는 것이 신기술의 전쟁터가 되어 버린 모바일 디바이스 시장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입니다. 하지만 큐레이션이라는 개념이 꼭 이런 분야에서만 가능할까요? 저는 우리 생활 전반적인 분야에서 모두 활용 가능하고 꽤 쓸모있는 마케팅 기법이 될 것이라고 봅니다.

아래는 최근 확산하고 있는 브랜드 프랜차이즈 분식점 J 떡볶이 집의 내부 메뉴 구성입니다. 물론 대형 자본의 기획과 마케팅 기법이 가미 되어 기존의 자영업 분식점 보다 장점이 있다고는 하지만 꼭 자영업 분식점에서 저렇게 못하리라는 법은 없었다는 것입니다. 분식을 먹으러 온 고객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만 보기 좋게 순서대로 정리를 한 것, 그리고 배경과 폰트의 색깔 등을 보면 저것 또한 큐레이션의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메뉴판의 변신이라고 봅니다.


또한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는 빌딩에 입주한 매장들의 간판의 틀과 폰트를 통일 시켜서 정리되어 깔끔하고 고객들이 보면서 인지하고 찾기 쉽게 하는 것 역시 기존에 있던 정보(간판)을 재배치하는 큐레이션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웹이든 모바일이든 오프라인 실생활에서든 이미 있던 정보들,흩어져 있던 정보들 또 보기 불편했던 정보들을 개념별 스토리별 분류를 해서 보기좋은 틀에 넣어 정리한다면 그 전에 없던 가치가 부가될 것이고 그것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큐레이션입니다. 어렵지 않죠? ^^

그럼 큐레이션 서비스는 미국,해외에만 있을까요? 국내에서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마지막으로 소개를 해드리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 에디토이닷컴(http://www.editoy.com/about/)

   낭만 IT 칼럼니스트이자 작가,만화가 전직 글로벌 IT기업의 부장 출신인 김국현씨가 부인과 함께 만들어서 시작한 소셜 큐레이션 편집 서비스입니다. 일종의 편집 장난감이라고 직접 이야기를 하시는데 기존의 SNS는 물론 블로그 포스팅과의 연계를 통해서 개개인의 의견을 하나의 글타래로 엮어서 공유하는 개념입니다.

  기존의 포스팅 들이 해당 미디어(블로그,페이스북 등)에서만 소비와 생산이 되었다면 에디토이를 통하면 고유한 링크 값을 가지면서도 거의 대부분의 SNS와의 연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계정이 있는 개인들은 누구나 참여하여 자신의 의견,컨텐츠를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소비자와 생산자가 거의 일치해지는 컨슈머의 개념이 가미된 큐레이션 서비스라고 할수도 있을 듯 합니다.
 
  그 외에는 저도 필진으로 참여하고 있는, 창업을 위해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시장 전문가나 선배들이 유익한 내용을 잘 정리하여 멘토링까지 가미하고 있는 벤쳐스퀘어닷넷(http://www.venturesquare.net/)과 직접 참여하는 서비스는 아니지만 오래전 팀블로그 개념에 소셜 기능을 가미한 비스킷(http://biskeet.com) 도 있습니다. 비스킷은 SNS와 미디어업계의 전문가 5명이 운영하는 서비스입니다.

  글로벌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국내 공식 서비스가 될 수 있을 지는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정보가 폭증하고 데이터의 처리와 분석이 핵심 경쟁력이 되는 시대에서는 큐레이션 개념이 신상품을 개발하는 것보다는 훨씬 더 시장 지향적이고 효과적이지 않을까 합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큐레이션의 개념을 도입한 사례를 한 번 찾아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

※ 2011년 정보화진흥원 배움나라에 기고한 글입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이제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사회,경제,정치,문화 등 단지 재미에서 벗어나 영향을 미쳐 흐름을 바꿀 정도의 주류(Main Stream)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요. 그런 SNS가 학습(Learning)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을 까요? 간단하게 한 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대표적으로 알고 사용하는 SNS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좌측부터 트위터,페이스북,텀블러,야머 등이 있습니다.(야머(Yammer)라는 서비스는 생소하신 분들이 계실 수 있는데 기업형 SNS 서비스로 전세계 10만개 넘는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B2B성 폐쇄성 SNS입니다.) 특히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국내 사용인구의 증가 속도가 놀라운데 최근에 각각 40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마도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동시에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그 속도는 가속을 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런 SNS의 확대 속에서 소셜러닝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소셜과 러닝이 어떻게 접목이 될 수 있을 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소셜러닝(Social Learning) 개념은 최초 캐나다의 세계적인 심리학자 앨버트 반듀라(Albert Bandura)가 최초로 주창한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서 나온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소셜러닝이라 함은 위에서 소개한 SNS,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 학습,집단 학습의 개념으로 불리워 지고 있습니다.

최근 소셜러닝에 관심이 많아지는 것 역시 앞에서 언급한 대로 SNS의 영향력이 전 분야에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SNS의 기본 성격이라고 할 수 있는 공유,참여,개방이라는 것은 전통적인 학습(Formal Learning)과는 거의 상반되고 있으며 학습자나 강사 입장에서도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필자가 속해있는 기업 HRD 관점에서 본다면 내부 정보나 기밀이 외부로 쉽게 나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소셜러닝을 시도 조차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소셜러닝은 특별한 교재나 강사를 통해서 완전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늘 해왔던 대로 주변 사람들과의 일하면서,생활하면서 나누는 대화와 주고 받는 정보가 모여서 하나의 콘텐츠가 되는 것이고 우리는 그것을 비공식적으로 더 학습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소셜러닝은 비정형학습(Informal Learning)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회사 또는 조직에서 제공하는 정형화된 학습은 고능률 또는 상위 직급 직원의 눈높이에 맞춘 것이 아니라 포괄적 대중화된 수준에 맞추어 진행하다 보니 틀에 맞춘 게층 교육 등은 기존 정형화 학습에 따라 진행이 된다 하지만 나머지 부분은 사실 마땅한 대안이 없는 것이 지금 까지 현실이었습니다. 그런 것을 극복해 보고자 추진했던 것들이 CoP(Community Of Practice)와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등 이었습니다.
그러나 두 시스템 모두 해당 기업이나 조직의 HR 전략과의 연계성을 고려치 못하거나 누군가는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만들어서 공급하고 학습자는 단순하게 받아가기만 하는 기존 이러닝 형태와의 차별점을 두지 못해 활성화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럼 CoP나 KMS는 왜 실패를 했을까요? 학습자와 강사를 구분을 해 놓은 점, 그리고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안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소셜러닝 환경에서는 학습자가 강사고 공급자고 생산자이며 소비자입니다. 상호 경험에 의해 생산된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해서 토론을 통해 또 하나의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그럼 그런 소셜러닝을 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이 있어야 하지 않나요? 라는 질문을 많이 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아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활용을 할 수도 있지만 그외 생소한 SNS 가 많이 있어 그림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국내에 소개된 무들(moodle,Modular Object-Oriented Dynamic Learning Environment)처럼 학습자가 직접 참여해서 콘텐츠와 LMS를 구축할 수 있는 집단 지성형 소셜러닝도 있고 잘 아시는 위키피디아의 경우 집단으로 참여해서 하나의 정의를 내리는 전형적인 소셜러닝 폼입니다.
그 외 구글 독스,유튜브,슬라이드쉐어,가상현실의 세계인 세컨드 라이프 역시 모두 소셜러닝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소셜 러닝을 어떻게 활용을 할 것인가? 에 대한 고민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직 국내에서는 이렇다 할 사례가 없기에 미국의 사례를 일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국내에서는 현재 포스코그룹이 소셜+모바일 러닝 플랫폼 완료후 운영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었고 현대기아차그룹이 내년 초에 선보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그 외 엘지전자,두산그룹 등은 Yammer를 사용하고도 있습니다.)

아래 사례는 미국 교육훈련 협회(ASTD,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의 최고 경영자 토니 빙햄(Tony Bingham)과 컨설턴트인 마르샤 코너(Marcia Conner)가 공저한 더 뉴 소셜 러닝(The New Social Learning)에서 발췌했습니다.

먼저 딜로이트 컨설팅의 D-Street라는 온라인 커뮤니티 시스템입니다.기존 페이스북,야머 등을 사용해 오던 것을 분석하여 새로운 형태의 협력 학습이 가능하게 구성을 한 것인데 실례로 고객과 협력업체 등까지 참여시켜 상대방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는 “대화형 의사결정 트리”를 만들어서 운영을 해오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의  Sun Learning eXchange 라는 비디오 플랫폼인데 쉽게 말해 회사 내에 자기들만의 유튜브를 구축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각 주제에 따라(Storytelling) 직원 누구나 영상을 촬영해서 업로드와 공유가 가능한 것인데 기존 교육부서의 콘텐츠보다 훨씬 양이나 질로 우수하여 ASTD 우수사례로 꼽히기도 했다고 합니다. 아래는 화면 캡쳐입니다. 마치 유튜브와 유사하죠.



세번째는 마이크로블로깅을 이용한 아이디어 및 정보의 전달과 공유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에서도 많이 이용하는 사내 메신저,Yammer,사내 트윗,MMS 등 입니다. 하지만 아직은 우리나라의 경우 메신저가 개인 잡담을 주로 하는 도구로 이용되어 찬밥신세인데요 타 지역 국가에서는 훨씬 더 생산적인 부분에서 활용하고 자연스러운 정보의 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신저 기능을 잘 사용하면 이메일 업무로 인한 서버 부하와 시간 지연등을 해소할 수도 있습니다.

네번째는 집단 지성의 사례인데 미국 인텔사에서 운영 중인 인텔피디아(Intelpidea)입니다.

위키의 개념을 사내로 흡수하여 심각한 수준의 대외비 정보는 다루기 어렵지만 업무상 필요한 용어에 대한 정의 등에 대해서는 상당히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 위키피디어와 유사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섯번째로 시뮬레이션,가상현실,증강현실 등을 활용한 교육인데 직접 체험을 통해 익히기 위험하거나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부분에 대한 숙련을 위해 많이 이용을 합니다. 셰브론(Chevron)사의 정유소 시뮬레이션이 있으며 아이비엠(IBM)에서도 상당히 많이 활용하고 있고,과거에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도 원더랜드(Wonderland)라는 오픈 소스 가상 협업 툴을 지원했으며 내부적인 리더십 교육에 활용하였다고 합니다.

마지막 사례로 실제 오프라인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 소셜 툴들을 이용하는 것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컨퍼런스,세미나 등의 현장을 실시간 영상 중계를 하고 그 피드백을 SNS를 통해서 받아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공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행사에서 시도하고는 있으나 기업 내에서는 아직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기업의 집합교육의 경우 강사의 의존도가 90% 이상인데 이러한 현장 활용 교육이 이루어지고 학습자의 참여를 얻으려면 강의를 주도하는 강사가 SNS와 그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등을 고려한 강의 기획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많은 기업이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고 있어 멀지 않아 우리나라에서도 좋은 사례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미국 사례 중심을 소개를 해드렸지만 SNS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끝없는 발전으로 소셜러닝을 할 수 있는 여건은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성공 요인은 SNS,소셜의 개념에 대한 인식 전환이며 학습자,임직원을 어떻게 참여시키게 만드는 가에 대한 동기 부여 부분이라고 봅니다.

많은 의견과 이론들이 나오고 있지만 틀에 잡힌 정형화된 학습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게 학습자 중심으로의 환경으로 변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이미 우리는 소셜러닝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MOT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 커뮤니티가 합쳐진다.(의미있는 커뮤니티를 찾아낸다)
- 포탈 -> SNS(무선인터넷 환경) : SNS는 사람을 끌어모은다. 왜? 정보는 사람이 만든다.
- 최고의 콘텐츠는 '정보' -> 정보를 매개로한 '사람'으로 변화했다.
- 구글의 침공과 페이스북의 침공은 차원이 다르다.(사람 기반의 신뢰)
- Mining => Opinion Making



+ Recent posts